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 주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관한 내용입니다. 2012년도 부터 삼성에서 새로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갤럭시s3를 내놓는다 라는등 여러가지 루머가 돌았습니다. 현재는 2015년도 이지만 아직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일부 적용한 스마트폰만 나오고 있을 뿐 우리가 상상하는 것처럼 완전 유연한 상태로 나오진 않습니다. 현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여러가지 스마트폰이 나왔는데 대표적인 예로 삼성의 '갤럭시 노트 엣지','갤럭시 라운드', LG의 'G 플렉스' 등 여러가지 '일부분만 적용하거나 완전 유연체가 아닌 스마트폰을 내놓았습니다. 여기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란 탄소 동소체인 그래핀(쉽게 휘어지며 안정성이 높고 전기전도성이 구리보다 100배 좋으며 강도가 강철보다 200배나 강하고 열전도성이 높은 다이아몬드보다 전도성이 2배나 높고 빛대부분을 통과시켜 투명함 )을 이용하여 화면 디스플레이를 만들어 낸것을 말합니다. 이것의 활용도는 광범위 한데 아직까지 개발단계에 있고 만드는데 비용이 크기 때문에 아직은 대량생산이 크게 불가 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삼성 '갤럭시 노트 엣지' 옆곡면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휜상태로 만들었다.)
현재 여러 기업들에서 개발단계에 있다고들은 하지만 이미 개발을 끝넸을수도 있습니다.......어떤 기업에서 플렉시블디스플레이를 완전활용한 전자기기만 내놔도 아마 다른기업들도 즉시 내놓을 것입니다. 현재 시장은 일부분만 적용한 기기들을 내놓고 있고 간단하게 간보는중입니다....
(삼성이 발표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입니다. 자유자제로 휘는것을 볼수있죠 하지만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전원장치와 메인보드 인거죠 디스플레이를 저렇게 사용하게 되면 메인보드와 배터리등이 같이 휘어져야 합니다. 하지만 그것들은 쉽게 휘어지기는 커녕 휘어지면 고장나기 마련이죠 그래서 저렇게 한쪽으로 메인보드와 배터리등을 몰아넣게 되는데 그럴경우에는 볼품이 없을 뿐더러 열을 빨리 내보네야 하는 메인보드에선 열방출이 힘들게되고 결론은 우리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형태로 사용하기 힘들다는 겁니다. LG의 G플렉스는 배터리와 메인보드가 조금 휘어 지긴 합니다만 자유자제로 휘어지진않죠.
아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유연한 메인보드로 이루어져 있었다면 이렇게 되진 않았을것입니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래서 새로운 디자인? 같은게 만들어졌습니다 바로 휴지처럼 뽑아쓰는???? 그런 방식이죠이렇게 되면 쓰기도 간편하고 사용하지 않을때엔 다시 말아 넣는다면 정말 편리할꺼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삼성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YOUM,윰) 좀 오래된건데 ㅋㅋㅋㅋㅋ 관련된 동영상입니다. 일상생활에서의 사용?을 보여주는거 같아서 퍼왔습니다.